쇼니 요리히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쇼니 요리히사는 가마쿠라 시대부터 규슈 지역을 관할해 온 쇼니 씨의 5대 당주 쇼니 사다쓰네의 아들이다. 겐코의 난에서 아버지와 함께 활약했으며, 겐무 신정 하에서 호조 씨 잔당을 진압했다. 아시카가 다카우지를 지지하여 다타라하마 전투 등에서 공을 세웠으나, 잇시키 노리우지와의 갈등, 아시카가 다다후유 옹립 실패, 정서부와의 대립 등으로 세력을 잃었다. 지쿠고강 전투에서 패배한 후 은거하여 교토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72년 사망 - 조반니 2세 델 몬페라토
조반니 2세 델 몬페라토는 1336년부터 몬페라토를 통치하며 영토를 확장하고 북부 이탈리아에서 세력을 넓혔으며, 마요르카 여왕과의 결혼으로 갈등을 겪다가 1372년 사망했다. - 1372년 사망 - 시내암
시내암은 《삼국지연의》의 편집자 또는 저자로 추정되지만, 실존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관련 자료의 신뢰성 문제와 루쉰의 주장 등으로 진위 논쟁이 지속되고 시내암 문학상이 제정되었다. - 1294년 출생 - 샤를 4세
샤를 4세는 카페 왕조의 마지막 프랑스 왕으로, 1322년부터 1328년까지 재위했으며, 잉글랜드와의 분쟁, 십자군 계획 등에 관여했고, 아들 없이 사망하여 카페 왕조의 직계 계승을 단절시켰다. - 1294년 출생 - 충숙왕
충숙왕은 고려의 제27대 왕으로, 재위 기간 동안 토지 겸병 및 고리대금 규제, 공녀 감축 등의 개혁을 추진했으나, 권세가들의 반발과 원나라의 간섭, 심양왕의 왕위 찬탈 시도 등으로 잦은 왕위 양위와 복위를 겪었다. - 쇼니씨 - 쇼니 요시요리
쇼니 요시요리는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으로, 아버지와 형의 전사 후 동생과 함께 쓰시마로 피신하여 가문 재건을 위해 노력했으나 젊은 나이에 사망했다. - 쇼니씨 - 쇼니 사다요리
쇼니 사다요리는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으로, 규슈 단다이와의 갈등 속에서 세력을 확장하고 오에이의 난을 틈타 일시적으로 세력을 회복했으며, 그의 아들 쇼니 미쓰사다가 가독을 이었다.
쇼니 요리히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씨족 | 쇼니씨 |
생애 | |
시대 | 난보쿠초 시대, 무로마치 시대 |
출생 | 1294년 |
사망 | 1372년 1월 30일 |
개명 | 요리히사 → 바이케이 혼쓰 (법명) |
아버지 | 쇼니 사다쓰네 |
형제 | 요리히사, 바바 쓰네카즈, 요리카타, 소오 |
자녀 | 나오스케, 후유스케, 요리즈미, 요리미쓰, 아시카가 다다후유의 아내 |
정치 경력 | |
막부 | 가마쿠라 막부 → 무로마치 막부 |
주군 | 아시카가 다카우지 → 다다후유 |
기타 정보 |
2. 생애
쇼니 요리히사는 규슈의 유력 슈고 가문인 쇼니씨의 제5대 당주 쇼니 사다쓰네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가마쿠라 시대 말기부터 남북조 시대에 걸쳐 활동한 무장이다.
1333년 겐코의 난 당시 아버지 사다쓰네를 따라 가마쿠라 막부 타도 운동에 참여하여 규슈의 호조 씨 세력을 몰아내는 데 기여했다. 1334년 고다이고 천황의 겐무 신정이 시작된 후에는 호조 잔당의 반란을 진압하는 데 참여했다. 그러나 1335년 아시카가 타카우지가 겐무 정권에 반기를 들면서 그의 삶은 큰 전환점을 맞이했다. 타카우지를 지원하는 과정에서 아버지 사다쓰네가 기쿠치 다케토시 등의 공격으로 전사하는 비극을 겪었으나, 이후 아시카가 측에 가담하여 다타라하마 전투(1336년) 등에서 활약했다. 이러한 공으로 지쿠젠 국, 부젠 국, 히고 국, 쓰시마 국 등 여러 지역의 슈고직을 받았다.[11][2]
하지만 아시카가 막부가 규슈 통치를 위해 파견한 규슈 단다이 잇시키 노리우지와의 갈등, 그리고 아시카가 가문의 내분인 간노의 소란에 휘말리면서 점차 막부와 대립하게 되었다. 1349년 이후 아시카가 다다요시의 양자 아시카가 다다후유가 규슈로 오자 그를 지지하며 잇시키 노리우지와 싸웠으나[12][3][4], 다다후유의 몰락으로 영지 대부분을 잃었다. 이후 한때 남조의 가네요시 친왕이 이끄는 정서부(征西府)와 손잡고 잇시키 씨를 규슈에서 몰아내기도 했으나[13][14][5][6], 공동의 적이 사라지자 다시 정서부와 적대 관계가 되었다.
1359년 지쿠고강 전투에서 기쿠치 다케미쓰가 이끄는 남조 세력에게 크게 패배하는[15][7] 등 연이은 전투에서의 패배로 세력이 크게 약화되었고, 결국 다자이후에서도 쫓겨났다. 1367년 아들 쇼니 다다스케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은거하여 교토로 상경했으며[16][8], 1371년 교토에서 7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7][9] 아들로는 쇼니 다다스케, 쇼니 후유스케, 쇼니 요리즈미가 있다.
2. 1. 가마쿠라 막부 타도와 겐무 신정
겐코 3년(1333년), 가마쿠라 막부 타도를 목표로 한 겐코의 난이 일어나자, 쇼니 요리히사는 아버지 쇼니 사다쓰네를 따라 이에 동참하였다. 그는 규슈 지역의 막부 세력 거점이었던 하카타의 진제이 단다이 호조 히데토키를 공격하여 멸망시키는 데 기여했다.가마쿠라 막부가 무너진 이듬해인 겐무 원년(1334년), 고다이고 천황 주도의 겐무 신정이 시작되었다. 그해 봄, 옛 막부 세력의 잔당인 부젠 슈고 이토다 요시사다(糸田義貞)와 히고 슈고 기쿠 다카마사(規矩高政)가 반란을 일으켰다. 요리히사는 이 반란 진압에 참여하여 기쿠 다카마사를 제압하였고, 이토다 요시사다는 오토모 사다토시에 의해 진압되었다.
겐무 2년(1335년), 아시카가 타카우지가 겐무 신정에 반기를 들고 이듬해 규슈로 내려왔다. 요리히사는 다카우지를 맞이하기 위해 5백 기를 이끌고 아카마세키로 향했다. 그러나 그가 자리를 비운 사이, 천황 측을 지지하던 기쿠치 다케토시와 아소 고레타다가 이끄는 대규모 병력이 다자이후의 거점인 우치야마 성(有智山城)을 공격했고, 이 전투에서 아버지 사다쓰네를 포함한 쇼니 일족 100여 명이 목숨을 잃었다. 다카우지의 동생 아시카가 다다요시가 사다쓰네를 위한 공양 기도를 제안했으나, 요리히사는 “무사로서 주군을 위해 목숨을 바친 이는 예로부터 많았고 아버지만 그런 것이 아니니, 지금은 기쿠치 군세를 정벌하는 것이 먼저입니다”라고 답하며 당장의 전투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전해진다(《태평기》).
겐무 3년(1336년), 요리히사는 아시카가 세력과 연합하여 지쿠젠 국에서 벌어진 다타라하마 전투에서 기쿠치 세력을 격파했다. 이후 교토로 상경하는 다카우지를 따라 미나토가와 전투에 참전하고 기나이 지역까지 진군했다. 아시카가 타카우지가 겐무 식목을 제정할 때, 요리히사는 상신자 중 한 명으로 이름을 올렸다.[2]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요리히사는 지쿠젠 국, 부젠 국, 히고 국, 쓰시마 국의 슈고직을 받았다.
2. 2. 남북조 시대의 혼란과 규슈에서의 세력 다툼
겐코 3년(1333년) 가마쿠라 막부 타도 운동인 겐코의 난이 일어나자, 아버지 쇼니 사다쓰네를 따라 이에 동참하여 하카타의 진제이 단다이 호조 히데토키를 토벌했다. 겐무 원년(1334년) 고다이고 천황의 겐무의 신정이 시작된 후, 호조 씨 잔당인 부젠 슈고 이토다 요시사다와 히고 슈고 기쿠 다카마사가 반란을 일으키자 이 중 기쿠 다카마사를 진압하였다.겐무 2년(1335년) 겐무 신정에 반기를 든 아시카가 타카우지가 다음 해 규슈로 내려오자, 요리히사는 5백 기를 이끌고 타카우지를 맞이하러 아카마세키로 향했다. 그러나 그 사이 왕실을 지지하던 기쿠치 다케토시, 아소 고레타다의 군대가 다자이후의 거점 우치야마성을 공격하여 아버지 사다쓰네가 전사했다. 《태평기》에 따르면, 아시카가 다다요시가 사다쓰네의 명복을 빌어주겠다고 제안했으나, 요리히사는 "무사로서 주군을 위해 목숨을 바친 이는 예로부터 많았으니 아버지 한 분만이 아니다. 지금은 기쿠치를 토벌하는 것이 먼저다"라고 답하여 주위를 감탄시켰다고 한다.
겐무 3년(1336년), 요리히사는 아시카가 군과 함께 지쿠젠국 다타라하마 전투에서 기쿠치 군을 격파했다. 이후 교토로 상경하는 타카우지를 따라 미나토 강 전투에도 참전했으며, 기나이 지역까지 종군했다. 타카우지가 겐무 식목을 제정할 때 상신자 중 한 명으로 이름을 올렸고[11][2], 그 공으로 지쿠젠 국, 부젠 국, 히고 국, 쓰시마 국의 슈고직을 받았다.
그러나 타카우지가 규슈 통치를 위해 남겨둔 잇시키 노리우지가 규슈 단다이 및 히젠 슈고로 임명되면서, 규슈에서 오랫동안 영향력을 행사해 온 쇼니 씨는 이에 반감을 품게 되었다. 아시카가 가문 내부에서 타카우지와 동생 아시카가 다다요시 사이의 대립(간노의 소란)이 발생하자, 쇼헤이 4년/조와 5년(1349년), 다다요시의 양자 아시카가 다다후유가 규슈로 도망쳐 왔다. 요리히사는 자신의 딸을 다다후유에게 시집보내 사위로 삼고[12][3] 그를 옹립하여, 타카우지 측의 규슈 단다이 잇시키 노리우지와 싸웠다.[4] 하지만 다다후유가 결국 몰락하면서 요리히사 또한 영지 대부분을 몰수당했다.
한편, 남조는 고다이고 천황의 아들 가네요시 친왕을 세이세이쇼군(征西将軍)으로 삼아 규슈로 파견했다. 가네요시 친왕은 구쓰나 씨, 다니야마 씨, 기쿠치 씨 등의 지원을 받으며 세력을 넓혀 정서부(征西府)를 형성했다. 요리히사는 한때 정서부와 손을 잡고 잇시키 노리우지를 공격하여 규슈에서 몰아내는 데 성공했다.[13][14][5][6]
쇼헤이 10년/분와 4년(1355년) 잇시키 씨가 규슈에서 철수하자 공동의 적이 사라졌고, 요리히사는 다시 정서부와 적대 관계가 되었다. 쇼헤이 14년/엔분 4년(1359년), 요리히사는 오토모 우지토키 등과 연합하여 정서부의 기쿠치 다케미쓰 군대와 지쿠고강 유역에서 싸웠으나 크게 패배했다(지쿠고강 전투, 오호바라 합전).[15][7] 쇼헤이 16년/엔분 6년·코안 원년(1361년), 결국 다자이후의 우치야마성에서도 쫓겨났으며, 쇼헤이 17년/조지 원년(1362년) 조자가하라 전투(長者原の戦い)에서도 패배했다.
결국 쇼헤이 22년/조지 6년(1367년), 아들 쇼니 다다스케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은거했으며[16][8], 교토로 상경했다. 겐토쿠 2년/오안 4년(1371년) 12월 24일, 교토에서 사망했다.[17][9] 향년 78세였다.
3. 여말 왜구와 쇼니 요리히사
고려 말기인 충정왕 2년(1350년)부터 시작된 대규모 왜구의 침입, 이른바 '경인년 왜구'에 대해 당시 다자이후의 슈고였던 쇼니 요리히사가 배후 세력이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쇼니 요리히사는 당시 고려 조정으로부터 왜구의 본거지로 지목되던 쓰시마섬의 슈고다이 소 쓰네시게를 휘하에 두고 있었다.
역사학자 이영은 이러한 주장의 근거로 당시 규슈 지역의 정치 상황을 제시한다. 1350년보다 1년 전인 1349년 9월, 쇼군 아시카가 다카우지의 서자이자 아시카가 다다요시의 양자였던 아시카가 다다후유가 규슈로 들어와 세력을 넓히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기존에 규슈 지역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던 쇼니 씨와 아시카가 다다후유 사이에 충돌이 발생했다. 쇼니 요리히사는 아시카가 다다후유의 공세에 맞서기 위해 병참 확보가 절실한 상황이었다. 이영은 쇼니 요리히사가 이러한 군량미 확보를 위해 자신의 영향력 아래에 있던 쓰시마의 소 씨 세력을 이용하여 고려 해안의 조운선을 노렸고, 이것이 '경인년 왜구'의 실체라고 주장한다.[18]
4. 쇼니 요리히사가 등장하는 매체
참조
[1]
웹사이트
横岳系図
http://wwwap.hi.u-to[...]
[2]
서적
武藤少弐興亡史
海鳥社
[3]
서적
大日本史料
[4]
서적
大日本史料
[5]
서적
大日本史料
[6]
서적
大日本史料
[7]
서적
大日本史料
[8]
서적
武藤少弐興亡史
海鳥社
[9]
서적
武藤少弐興亡史
海鳥社
[10]
문서
『横岳系図』에는 사다쓰네의 아들로 요리카타(頼賢), 소오(宗應)가 있었으며, 소오는 우치야마 성(有智山城)에서 사망하였다고 되어 있다.
[11]
서적
武藤少弐興亡史
海鳥社
1989
[12]
서적
大日本史料
[13]
서적
大日本史料
[14]
서적
大日本史料
[15]
서적
大日本史料
[16]
서적
武藤少弐興亡史
海鳥社
1989
[17]
서적
武藤少弐興亡史
海鳥社
1989
[18]
서적
왜구와 고려-일본관계사
도서출판 혜안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